자료구조: Tree(1) - Binary Search Tree - 오늘은 Search , Insert , Delete 모두 다 빠른 성능을 보여주는 Tree에 대해 알아보겠다. Contents Skip List idea from Linked List Binary Search Tree Definition Search Algorithm, Insert Algorithm, Delete Algorithm Proofs of Correctness and Performance Skip List 지난 포스트의 Skip List의 아이디어를 활용한 것이다. ( 링크드 리스트에서 여러개의 포인트를 설정하고 노드들 Jump 하기 ) Definition of Binary Search Tree 값은 아무거나 넣을 수 있다. 노드 3개를 묶어서 보았을 때 중간 노드의 값보다 큰 값은 오른쪽 작은.. 더보기 자료구조: Linked List Contents Definition of Linked List Implementation Performance Sample Application Definition of Linked List Consists of Nodes Node : unit of storage (item) Nodes are linked with pointers ( what does that mean? ) **Pointer: Simply Stores an Address Linked list는 배열과 다르게 메모리 아무데나 있을 수 있다. 대산 한 노드에 가면(=한 노드의 주소를 알아서 그곳의 내용을 읽으면) 다음에 갈 노드의 주소가 적혀있다. 즉 노드들이 포인터들도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이다. Linked List의 노드의 구조를 살펴보.. 더보기 자료구조: Equivalence Relation(동치 관계) 이번 포스트에서는 동치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다. 지난번에 이이서 stack 과 queue를 활용한 방법들을 보여줄 예정이다. Contents ( 이번 포스트의 내용 ) Another Application of stack and DFS What is an Equivalence Relation? What is an Induced Equivalence Class? How to find the Induced Equivalence Class given an Equivalence Relation? Performance Considerations Definition of Equivalence Relation First, Definition of Relation Given a set A, a Relatio..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