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 Array in python 앞서 자료구조에서 배웠듯이 array 즉 배열은 같은 type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한 자료구조이다. 파이썬에서의 배열 사용은 다른 언어들에 비해 매우 간단한 편이다. 먼저 배열의 이름을 설정하고 나열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보통 리스트의 형태( [ ] 로 묶어서 ) 로 나타낸다. 배열의 타입이나 크기를 설정해줘야하는 c언어에 비해 간단하게 배열을 표현할 수 있다. 1 2 data = [1,2,3,4,5] char = ['a','b','c'] 이런 식으로 말이다. 각각의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 ex) data[0] = 1, char[2] = 'c')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게 되어 가장 큰 인덱스는 (배열 요소의 개수 - 1) 가 된다. 가장 간단한 사용법인 배열이지만 이러한 배열의 성.. 더보기 PART5 전치사, 접속사, 부사(3) -부사절 접속사(1)- Points 1. 부사절 접속사는 완전한 두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하는 접속사이다. 2. 혼동하기 쉬운 부사절 접속하는 정확한 의미를 알고 있어야한다. 1. 부사절 접속사는 완전한 두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부사절 접속사 + 문장 은 부사 역할을 하므로 생략해도 문장은 성립한다. ex) When Mr.Miller worked as a marketing strategist, he learned a lot. 밀러 씨가 일했을 때 / 마케팅 전략가로서/ 그는 많은 것을 배웠다. 부사절 접속사 + 문장 =>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 역할. 2. 부사절 접속사는 문장의 앞이나 두 문장의 중간에서 문장을 연결한다. Although Mr. Lee retired five months ago, the company h.. 더보기 Part 5 접속사, 전치사, 부사 (2) -상관접속사, 등위접속사- Points 1. 상관접속사는 짝을 잘 맞추어 써야 하므로 숙어처럼 덩어리째 암기한다. 2. 등위접속사 앞뒤로는 같은 품사나 구조가 온다. 1. 상관접속사는 짝을 지어 쓰이는 접속사이다. either A or B : A이거나 B이거나 neither A nor B : A도 B도 아닌 both A and B A와B 둘다 not A but B : A가 아니라 B not only A but(also) B : A뿐만 아니라 B도 역시 (=B as well as A) ex) I can either reorder the same software for you or offer an immediate full refund to your account. 해석 : 나는 같은 소프트웨어를 주문하거나/너를 위해/ 즉시 환불을 .. 더보기 이전 1 2 3 4 5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