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 보안 관련 지식/자료구조 익숙해지기 (with python)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료구조 : Queue in python Queue(큐) FIFO(first in first out) 의 규칙을 가진 자료구조이다. 즉 먼저 들어온 요소가 먼저 나간다는 뜻이다. 이러한 자료구조를 파이썬 코드로 나타내보자. 1. 일반적인 Queue 자료구조 1 2 3 import queue data_queue = queue.Queue() cs 위와 같이 정의하면 data_queue 라는 이름의 queue 자료구조가 간단하게 완성된다. 이제 data를 집어 넣고 빼는 코드를 짜보자. 1 2 3 4 5 6 7 data_queue.put("a") # a 입력 data_queue.put("b") # b 입력 data_queue.put("c") # c 입력 print(data_queue.get()) # a 출력 print(data_queue.get()).. 더보기 자료구조 : Array in python 앞서 자료구조에서 배웠듯이 array 즉 배열은 같은 type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나열한 자료구조이다. 파이썬에서의 배열 사용은 다른 언어들에 비해 매우 간단한 편이다. 먼저 배열의 이름을 설정하고 나열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보통 리스트의 형태( [ ] 로 묶어서 ) 로 나타낸다. 배열의 타입이나 크기를 설정해줘야하는 c언어에 비해 간단하게 배열을 표현할 수 있다. 1 2 data = [1,2,3,4,5] char = ['a','b','c'] 이런 식으로 말이다. 각각의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 ex) data[0] = 1, char[2] = 'c')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게 되어 가장 큰 인덱스는 (배열 요소의 개수 - 1) 가 된다. 가장 간단한 사용법인 배열이지만 이러한 배열의 성.. 더보기 이전 1 다음